본문 바로가기

백준 PS일지/BruteForce

[백준/Swift] 1025 : 제곱수 찾기 문제 뿌수기!!

728x90

 

 


1025 : 제곱수 찾기 / 문제 소개

 

N행 M열의 표의 각 칸에는 숫자가 한개 씩 있다.

 

서로 다른 1개 or 1개 이상의 칸을 선택 하려고 한다.

이때, 칸을 선택할 수 있는 조건이 있다.

특정칸에 위치하는 행이 등차수열을 이루어야한다. 열 또한 등차수열을 이루어야 한다.

 

위의 조건을 만족하는 칸을 고를 때 그 순서대로 '정수'를 만들 수 있다. 이때 구할 수 있는 가장 큰 완전제곱수(우리가 선택해서 만든 정수 중  해당 정수가 제곱수여야 함과 동시에 N행 M열에서 만들 수 제곱수들 중 가장 큰 제곱수)


등차수열은 쉽게 말해 연속하는 두 항의 차이가 일정한 수!!( == d ) 를 말한다.

  • 1, 1, 1, 1, 1 이라는 수는 차이가 0으로 연속적인 등차수열에 포함된다.
  • 1, 2, 3, 4, 5 이 숫자들 또한 차이가 +1으로 연속적인 등차수열에 포함된다.
  • 1, 3, 5, 7, 9 이 숫자들 또한 차이가 +2으로 연속적인 등차수열에 포함된다.

N행 M열에서 이러한 등차수열의 규칙을 조건으로 특정한 칸 or 여러개의 칸을 선택 할 수 있는 것이다.

 

예를들어 

input

2 3

123               (0,0)(1,0)(2,0)

456              (0,1)(1,1 )(2,1)

이 주어졌다.

 

만들 수 있는 정수는?

행에서의 d = 0일 때 열에서의 d = 0 일 때 1, 2, 3, 4, 5, 6 이 나올 수 있다.

행에서의 d = 0이고, 열에서의 d = 1 일 때 12, 25, 36 이 나온다.

 

이런식으로 행에서 등차수열의 규칙을 적용하고 && 열에서 등차수열의 규칙을 적용하면 조건에 만족되는 숫자들을 선택 할 수 있다.

그림1 좌, 우

그림1 의 왼쪽 그림을 보면

 

우선 (0,0)을 기준으로 만들 수 있는 숫자들을 보자!!

열의 공차0이라고 가정한다면

행에서 나올 수 있는 등차수열의 공차는 0, 1,2,3 이 있다.

공차 d 가

  • 0일때는

 (0,0)이 수가 정수가 되고

  • 1일때는

 (0,0) (1,0) 

 (0,0) (1,0) (2,0)

 (0,0) (1,0) (2,0) (3,0) 이렇게  3개의 좌표에 써져있는 3개의 숫자들이 정수가 된다.

  • 2 일때는

(0,0) (2,0)

  • 3일때는

(0,0) (3,0)


  고렇다면 여기서 퀴즈!!

 

(0,0) (1,0) (3,0) 세개의 좌표를 선택하면 왜 안돼는가?

??

0,0 에서 1,0은 행의 공차가 1이다. 근데 1,0에서 3,0은 행의 공차가 2이다.

 

두 항의 차이 (d)가 일정한 수열을 의미하는데 위의 좌표는 1과 2. 즉 등차수열이 될 수 없다. 따라서 3개의 좌표를 선택할 수 없다.

(0,0) (1,0) 을 선택하거나 (0,0) (3,0) 또는 (1,0) (3,0) 또는 (3,0) (1,0) 또는 (3,0) (0,0) 또는 (1,0 ) (0,0)등 이 선택될 수 있다. 


그림 1 뿐 아니라 (0,0)에서 만들 수 있는 정수는 다양하다.

그래서 문제를 풀 당시 나는 위의 규칙을 적용해 특정한 칸을 기준으로 나올 수 있는 정수들을 화살표로 그려봤다.

그림3

;;

이를 어떻게 포문으로 훑는단 말인가?

빨간색의 경우 나올수 있는 정수는 검정색 으로 표시한 것들이다. 그뿐만 이 아니라 빨간색을 1,1이 아니라 2,1에서 그린 경우에도 오른쪽이나 대각 왼쪽 아래 대각오른쪽으로 숫자들을 만들 수 있다. 그 뿐 아니다.

초록색 동그라미(5,1)의 경우 다시 1,1까지 탐색을 해나가야한다.

(5,1)에서 (1,1)? 이땐 공차가 -4이다. 


풀이 과정

 

위에서 그린 그림3에서

처음 선택한 좌표가 빨간색 일때,

연속된 행과 열의 공차는 각각 0~3이 될 수 있다.

또한 처음 선택한 좌표가 초록색 일 때 연속된 행과 열의 공차는 각각 -3 ~ 0이 될 수 있다.

 

일단 빨간색에서 맨 끝의 행 열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이중 포문이 필요하다.

그 각각의 선택된 처음 좌표에 대해서!!!!

연속된 행과 열의 공차를 적용하면 된다.

위에서 그린 그림3에서 이때(1,1) 의 경우 선택될 수 있는 행 열의 공차는 다 양수여야하지만,

(2,1)일때 ... (5,1)일 때는 음수의 공차가 필요하다.

 

또한 공차 d = 0일때 한개의 선택된 정수 또한 완전 제곱수가 될 수 있는걸 유의해서 코드를  구현해 나가면 된다.


여기서 처음에 그럼 이 경우의 연속된 숫자들을 어딘가에 저장해야 하는것 아닌지? 하면서 풀어갔는데

예를들어 (0,0)에서 열의 d = 0, 행의 d = 1 일 때는 선택될 수 있는 수가 (0,0) 과 (0,0) (1,0) 이고 이 두개에서 뒤에 값을 더 붙인 (0,0) (1,0) (2,0) 이런식으로 이전 에 구한 정수가 필요하기 때문에 구한 즉시 완전 제곱수인지를 구하면서 그 값을 저장하고, 새로운 좌표가 추가될 때 완전 제곱수인지를 판별해 가면 되는 문제이다.


코드 구현

 

import Foundation

func BOJ_1025()
{
    let rect   = readLine()!.split(separator:" ").map{Int($0)!}
    let height = rect[0]
    let width  = rect[1]
    var map    = Array(repeating:[String](),count: height)
    var res    = -1
    for i in 0..<height
    {
        map[i] = readLine()!.map{String($0)}
    }
    /*
      여기서 생성되는 (x,y)좌표는 그림3에서 빨간색 점 부터~ 초록색점 ~ 맨 끝 (4,4)의 점까지 탐색하기
      위한 2중 포문이다. 즉 이 포문을 통해 (0,0) 일 때 나올 수 있는 모든 정수들 중 완전 제곱수(최대값을 갖는 제곱수)를 찾는 즉시 갱신해 갈 것이다.
     */
    for y in 0..<height
    {
        for x in 0..<width
        {
            /*
              여기서 나올수 있는 공차를 구해야한다. 이때 주의할 점이
             N M 행열의 좌표들은 양수이다.
             따라서 특정한 좌표에 연속적인 등차수열을 구하기 위해 각각의 행 열에 공차를 더할 때
             그 행, 열의 좌표가 음수이면 탐색을 못하도록 while문에 조건을 달아야한다!!
             */
            for dy in (-(height-1))..<height
            {
                for dx in (-(width-1))..<width
                {
                    var curX = x
                    var curY = y
                    var sum    = 0
                    var strSum = ""
                    while (curX >= 0 && curX < width) && ( curY >= 0 && curY < height)
                    {
                        strSum += map[curY][curX]
                        sum    = Int(strSum)!
                        var sqrtNum = Int(sqrt(Double(sum)))
                        if sqrtNum*sqrtNum == sum
                        {
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s = max(res, sum)
    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        if dx == 0 && dy == 0
                        {
                            break
    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        curX = curX + dx
                        curY = curY + dy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}
    }
    print(res)
}
BOJ_1025()

 

visit my github

 

728x90